XBMC에 대한 소개는 다음 포스팅을 참고 하세요.

윈도우용과 맥용 XBMC는 XBMC 사용자 모임에서 한글화 하여 구글코드를 통해 배포하고 있습니다만 XBMC의 기본 출력 언어는 영어가기본 언어입니다. 리눅스용 또한 마찬가지로 우분투에서 PPA를 통해서 설치하든 소스를 빌드하여 설치하든 기본 언어는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PPA가 존재하므로 설치 자체에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PPA를 이용한 설치법 보기

우분투에서의 설치는 따로 부가 옵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상 편하게 PPA로부터 설치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10.04와 10.10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team-xbmc/ppa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xbmc

이제 한글이 출력되도록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기본 스킨을 바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만일 기본을 바꾼다면 아래 설정 내용을 사용하고자 하는 스킨내의 파일에서 수정해주어야 합니다.)

I. 폰트의 선택과 설치

시스템에 아무리 폰트가 여러가지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XBMC는 자체적으로 폰트를 관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하는 폰트를 직접 XBMC 폰트 디렉토리로 옮겨주어야 합니다. 최근 한글 폰트가 많이 무료 공개되고 있어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만 메뉴 표시에는 Bold 폰트를 사용하는 것이 외관상 좋아보입니다. (Bold 폰트가 아닌 일반폰트에 Bold 속성을 부여하는 옵션이 없으므로 원래부터 Bold로 제작된 폰트여야 합니다.) 또한 본인이 일본어나 중국어를 표시해야 하는 미디어들을 주로 다룬다면 중국어 한자, 간자, 일본어 약자등이 모두 포함된 폰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추천하는 폰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버 사전체 (다운로드링크)

사전용 폰트답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한자들이 표기됩니다. 그러나 Bold로 제작된 폰트를 지원하지 않아 보기에는 좋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자 문제로 스트레스 받고 싶지 않다면 네이버 사전체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2) 나눔고딕 (다운로드링크)

나눔고딕은 일반, Bold, Extra Bold 이렇게 3가지 서체를 배포하고 있고 디자인도 매우 깔끔하여 보기에도 좋습니다만 한자 지원이 아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자 표시가 필요없는 주메뉴 폰트용으로 적합합니다.

(3) 한컴 함초롬돋움체 (다운로드링크)

일반서체와 Bold 서체 두 가지를 배포하고 있고 매우 깔끔합니다. 게다가 한컴에서 제작한 폰트답게 한자 지원이 매우 훌륭합니다. 그래서 윈도우용 XBMC 한글화 패키지에서는 함초롬돋움체를 포함하여 기본 폰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포스팅에서는 나눔고딕엑스트라볼드를 주메뉴용 폰트로, 한컴 함초롬돋움볼드를 부메뉴용 폰트로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이 폰트들이 아니더라도 본인이 원하는 폰트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제 설치를 합니다.

1. 관리자 권한으로 노틸러스를 하나 띄웁니다. (gksu nautilus &)

2. 다운받은 나늠고딕엑스트라볼드와 함초롬돋움볼드 폰트를 /usr/share/xbmc/media/Fonts/ 디렉토리로 복사합니다. (이미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다면 심볼릭 링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3. arial.ttf 폰트를 지우거나 이름을 변경하고 복사한 나눔고딕엑스트라볼드의 심볼릭 링크를 하나 생성한 후에 이름을 arial.ttf로 변경합니다.

모두 완료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II. 스킨의 Font.xml 파일 수정

1. /usr/share/xbmc/addons/skin.confluence/720p/Font.xml 파일을 에디터로 엽니다.

2. 파일내의 DejaVuSans.ttf , DefaultCaps.ttf, DejaVuSans-Bold.ttf 를 찾아 모두 HANDotumB.ttf 로 바꿉니다.

DejaVuSans-Bold-Caps.ttf 를 찾아 NanumGothicExtraBold.ttf 로 바꿉니다.

최종 수정된 Font.xml 파일을 첨부하였으므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Font.xml
Version: none
Filetype & Size: gz / 533 bytes
Font.xml


III. XBMC에서 메뉴와 자막의 한글 설정

1. XBMC를 실행하고 System 메뉴의 Appearance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Korean으로 바꾸어 주면 모든 메뉴가 한글로 출력이 됩니다.

2. 비디오-자막 설정을 선택한 후 아래와 같이 폰트를 지정해줍니다. 다른 폰트를 자막 폰트로 사용하고 싶다면 /usr/share/xbmc/media/Fonts/ 디렉토리내에 복사해주면 지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