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프로그램 추천에서는 프로그램의 설치법과 설정법이 아닌 단순히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수준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윈도우용의 대체 프로그램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을 주로 다루겠습니다.

Audacious, Songbird, Amarok, XMSS, Rythmbox, Toteme등등 이상하게도 리눅스에는 엄청나게 많은 음악 재생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각 사용자마다 목적과 용도에 따라 선호하는 프로그램이 다르듯이 저도 가볍고 쉬운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Audacious를 가장 좋아합니다. 윈도우의 윈앰프와 많이 비교될 만큼 Audacious는 가볍고 (비록 현재의 윈앰프는 가벼움 따위는 안드로메다로 버렸지만요…)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지니고 있습니다. 단 라이브러리 기능이 많이 빈약합니다. 그래서 저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음악 파일을 관리하는 것은 와인을 이용해서 푸바로 해결합니다. 개인적으로 모든 플랫폼을 통털어서 가장 좋은 음악 재생 프로그램은 푸바라고 확신합니다.

아무튼 Audacious는 우분투의 공식 저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Audacious로 검색하시면 Audacious 2가 검색됩니다. 단 우분투 10.04는 1.x 버전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추천하는 것은 Audacious 2 입니다. 10.10에서는 그냥 찾아서 설치하시고 10.04는 아래와 같이 PPA를 추가해 주고 설치하면 최신 버전의 Audacious 2가 설치됩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unstable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udacious audacious-plugins

그럼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2버전부터는 gtk 인터페이스를 지원해서 매우 깔끔한 형태의 외관을 자랑합니다. 기존의 인터페이스가 편하다면 옵션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앨범커버와 기본적인 이퀄라이저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별다르게 설명할 것도 없이 전형적인 음악 재생 플레이어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글, 일어등도 제대로 지원합니다. (단 옵션에서 문자셋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제가 Audacious 2를 추천하는 이유는 가벼움과 더불어 충실한 기본 플러그인 때문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몇 가지 플러그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Audacious OSD 입니다. 팝업 형식으로 현재 재생 중인 곡을 표시해줍니다. 곡이 바뀌거나 일시정지등이 작동할 때 스크린샷과 같이 팝업이 뜨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팝업 위치, 투명도, 색상, 폰트, 멀티 모니터 사용시 표시 모니터 지정등등 옵션도 매우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귀염돋는 제 바탕화면입니다. 상단 중앙에 재생되고 있는 곡의 정보가 팝업됩니다.

 

두번째로 Last.fm Scrobbler 플러그인 입니다. 설정은 아래의 설정창에 Last.fm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됩니다.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곡을 재생하면 스크린샷과 같이 자동으로 Last.fm에 재생 정보를 전송합니다.

현재 재생되고 있는 곡의 정보가 Last.fm에 전송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핫키 플러그인입니다. 설정창에서 단축키를 지정해 주면 Audacious 2가 실행되어 있는 동안에 지정한 단축키가 실행됩니다. foobar의 글로벌 핫키와 동일합니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Audacious 2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라이브러리 기능이 미흡하지만 음악 재생 프로그램의 기본 기능은 아주 충실히 수행하며 실행 속도도 매우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기본으로 제공하는 많은 플러그인들이 확장성을 더해주고 있어 사용해 볼만한 프로그램입니다.

우분투 프로그램 추천에서는 프로그램의 설치법과 설정법이 아닌 단순히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수준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윈도우용의 대체 프로그램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을 주로 다루겠습니다.

미리보기 프로그램은 연결 프로그램의 로딩없이 빠르고 간편하게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윈도우 프로그램인 토탈 커맨더의 리스터 플러그인을 예로 들 수가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에서도 미리보기가 부분적으로 지원이 되나 매우 한정적인 파일 형식이 지원됩니다. 그나마 XP에 들어와서야 그림과 동영상 (그것도 코덱을 전부 설치해주어야 하는) 미리보기가 지원이 되긴 합니다만 선택적으로 미리보기가 가능한 것이 아니라 폴더째 아이콘 형식을 바꾸는 방식이라 폴더 안에 많은 파일이 들어있다면 로딩이 더 오래 걸리는 불상사가 발생하여 거의 쓸모없는 기능에 가깝습니다. 때문에 윈도우 탐색기 사용자에게 있어 미리보기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말로 이해시키기는 많이 힘듭니다만 토탈 커맨더 사용자라면 리눅스 시스템에서 그 아쉬움이 늘 남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록 토탈 커맨더의 리스터 플러그인들보다는 강력하지 않지만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거의 대부분의 포멧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큰 매력이 아닐 수 없습니다.

Gloobus Preview에서 지원되는 파일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Images: jpeg, png, icns, bmp, svg, gif, psd, xcf
Documents: pdf, cbr, cbz, doc, xls, odf, ods, odp, ppt
Source: c++, c#, java, javascript, php, xml, log, sh, python
Audio: mp3, ogg, midi, 3gp, wav
Video: mpg, avi, ogg, 3gp, mkv, flv
Other: folders, ttf, srt, plain-text

먼저 설치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PA가 제공되므로 아래 명령어로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gloobus-dev/gloobus-preview &&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gloobus-preview

문제는 설치 후에 노틸러스와의 연동입니다. 노틸러스에서 사용자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사용하여야 하지만 노틸러스 엘리멘터리를 사용하면 스페이스바를 누르는 것만으로 바로 Gloobus Preview가 작동하게 됩니다. 노틸러스 엘리멘터리 설치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am-monkeyd/nautilus-elementary-ppa &&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노틸러스는 이미 설치되어 있으므로 업데이트를 해주면 노틸러스 엘리멘터리가 현재의 노틸러스를 대신하게 됩니다. 몇 가지 편리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데 만일 Maverick을 사용하고 계시다면 Gloobus Preview의 사촌격인 Coverflow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ucid Lynx에서는 Coverflow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노틸러스에서 F4을 누르면 스크린샷과 같이 노틸러스 안에서 미리보기가 작동합니다. 다만 그 형식이 제한되어 있어 이미지 정도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F7을 누르면 현재 위치에서 터미널을 열 수 있습니다. 따로 nautilus-open-terminal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아도 조금 더 간편하게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와서 노틸러스 엘리멘터리 설치 후에 파일에서 스페이스바를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이 Gloobus Preview가 작동합니다. 그리고 방향키 또는 페이지 업, 다운 버튼으로 항목을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닫기는 스페이스바를 다시 한 번 누르면 됩니다. 그리고 엔터를 입력하면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즉 일단 빠르게 내용물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무거운 편집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옵션은 몇 가지 없습니다만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Always on top ; Gloobus Preview 창이 항상 제일 위로 오게 합니다.
Quit on lose focus; 창에서 포커스를 잃으면 자동으로 Gloobus Preview가 닫힙니다.
Use gtk theme; 현재 사용하고 있는 gtk theme을 Gloobus Preview에 적용합니다.

끝으로 스크린샷 몇 장 투척하고 마치겠습니다.

폴더

mkv 파일

mp3 파일

jpg 파일

js 파일

해 전부터 개인서버를 구축하여 사용해 오고 있는 저는 (이 블로그도 이 포스팅에서 소개하는 서버에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계속되는 전기 요금의 압박과 팬으로 인한 소음, 그리고 발열로 인해 돈만 넘친다면 IDC에 허접한 사양의 일반 컴퓨터라도 넣어 놓고 싶다는 생각을 자주 했습니다. 그러나 지극히 개인 용도의 서버인지라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IDC는 오버고 차라리 NAS 제품으로 갈아타볼까도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NAS는 가격에 비해 사양이 너무 떨어지고 커스터마이징이 너무 제한적이라 결국 파인 트레일 기반의 홈서버를 구축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목표는 저전력과 저소음, 저발열 이었습니다. 넷북으로 인해 이미 아톰은 줘도 못 쓸 CPU라는 평이지만 그건 넷북으로 데스크탑의 퍼포먼스를 원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저는 홈서버로는 충분하다는 생각에 시도해 보았습니다. (아톰 CPU의 성능 비교는 이 곳을 참조 하세요.)

하드웨어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M/B; Intel D510MO Essential (CPU, VGA, Sound, LAN 내장)

CPU; Atom D510 (1.66GHz / Dual)

VGA; Intel GMA 3150

Sound; Realtek ALC662

LAN; Realtek RTL8111DL

RAM; DDR2 PC-6400 2G * 2

HDD; WD 1TB Caviar Blue WD10EALS + WD 2TB Caviar Green WD20EARS

Case; 프라임디렉트 ITX Prime

Power; 비아코 ML 120W-8A

메인보드는 무척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제가 구매할 당시 기가바이트에서 모든 사양이 동일하고 S-ATA 포트를 2개 더 지원하는 제품이 있었습니다. 무척 땡겼습니다만 팬이 있다는 사실에 눈물을 머금고 인텔 제품을 선택하였습니다. 이 외 다른 부품은 크게 특이할 것은 없고 다만 저소음과 효율을 위해 DC to DC 파워를 구매하였습니다. 케이스는 선택의 폭이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3.5인치형 하드가 일단 2개가 장착이 되어야 하고 가급적 작은 베어본 형태인 것을 찾아보았는데 이 제품이 그나마 외관과 확장성이 쓸만해 보여 구입했습니다.

조립에 있어서 어려운 점은 없었습니다만 케이스가 딱 가격에 맞는 수준이라 하드 장착이 조금 힘들었습니다. 나사 구멍이 제대로 맞지를 않더군요. 가뜩이나 내부가 좁은데 나사 구멍이 안맞아서 하드 디스크를 고정하는데 약간 애를 먹었습니다. DC to DC 파워는 달리 고정할 곳이 없어 사진과 같이 절연한 후 케이블 타이로 고정해두었습니다.

모든 조립을 완료한 후의 모습입니다. 책상위에 올려 놓으니 나름대로 이쁘더군요. 키보드와 마우스, 모니터는 처음 셋팅시에만 연결을 하고 이후에는 원격조종 프로그램으로 컨트롤 하고 있습니다.

이제 실사용 시 전력 소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교적 정확한 값을 측정하기 위해 인스펙터2로 부팅시와 아이들시 소모량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부팅시

아이들시

이와 같이 측정되었습니다. 램2개, 하드2개를 사용하는 것 치고는 생각보다 아주 만족스러웠습니다. 24시간을 풀로 가동했을 때의 한 달 소모량을 계산해보아도 충분히 사용할만한 전력 소모량입니다. 실제로 구축 후 약 4개월간의 전기 요금을 기존의 전기 요금과 비교해 보아도 별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에베레스트로 확인한 온도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현재가 한겨울이긴 하나 제 방 온도는 좀 높은 편이라 상온으로 보시면 됩니다. 여름에도 이 보다 더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습니다. 어차피 죽을 때까지 쓸 제품도 아니고 열로 인해 고장나는 것은 신경 쓰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 이벤트 뷰어 로그에 근거한 BSOD (쉽게 말해 블루스크린 입니다.) 발생 횟수는 스크린샷과 같이 0회 였습니다. 열로 인한 안정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드웨어는 이 정도로 마치고 이제 실제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개인적으로 체감한 아톰의 성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OS는 Windows Server 2003 R2 Standard Edition이며 항상 작동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용도는 APM과 토렌트의 시드박스입니다.

Apache daemon, MySQL daemon, hMailServer, IRC daemon, Anope IRC Service, Eggdrop, Web IRC Client daemon, uTorrent, mIRC, foobar2000 UPnP media server, Berryz WebShare, openVPN, Filezilla server, Everything, Radmin Server, Windows Media Service, VMWare (CentOS에서 APM 구동)

이 정도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있을 때 아이들시 작업관리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몇 달간 실제로 여러 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느낀 점은 소규모용으로는 성능이 넘친다는 것입니다. VMWare를 이용하여  CentOS를 동시에 돌려도 커버가 가능합니다. 많은 접속자가 없거나 취미 및 테스트용 서버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여기에 토렌트 시딩은 보통 500~600개 정도를 하고 있습니다.또한 기가비트 공유기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내부에서는 네트워크간 전송 속도로 인해 답답한 점은 많이 줄었습니다. 게다가 수십기가에 달하는  큰 용량의 동영상도 복사없이 시청이 가능하여 실제로 전송할 일은 많이 없어졌습니다.

개개인 마다 사용용도가  다르고 저는 이쪽 분야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비전문가이기 때문에 매우 주관적인 글입니다. 그러나 저와 같이 홈서버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포스팅을 마칩니다.